![]()  | 
| 외국인인구 258만 다문화사회 | 
숫자가 전하는 메시지, 인구 5%의 변곡점
2024년 11월 1일 기준,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의 수가 258만 3,626명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총인구의 5.0%를 차지하는 수치이며 , 통계가 작성된 2006년 이후 가장 큰 규모입니다.
인구 5%라는 기준은 통상적으로 한 국가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했음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집니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이번 통계는 대한민국이 이제 명백히 다문화 사회의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음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이 거대한 숫자는 단순히 통계표의 한 줄이 아닌, 우리 사회 전반에 걸친 구조적 변화와 미래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유학생 폭증과 비수도권의 역동적 증가
외국인주민의 증가를 이끈 핵심 동력은 유학생이었습니다. 유학생 수는 전년 대비 13.0%가 증가하며, 가장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K-컬처의 확산과 더불어 우수한 한국의 고등교육에 대한 국제적인 수요가 높아졌음을 방증합니다. 또한, 외국인근로자와 결혼이민자 역시 꾸준히 증가하며 지역 사회의 생산과 복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해야 할 현상은 외국인주민의 거주지 변화입니다. 여전히 수도권(경기, 서울, 인천)에 전체의 56.7%가 거주하고 있지만 ,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10.5%↑), 울산(8.9%↑), 경북·충남(8.8%↑) 등 비수도권이었습니다.
외국인주민 집중거주지역으로 새롭게 편입된 15곳이 모두 비수도권이라는 사실은, 외국인 인구가 인구 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방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음을 강력하게 보여줍니다.
전문가적 시각으로 본 사회 통합의 과제
외국인주민이 총인구의 5%를 차지하는 시대는 단순히 인구 구조의 변화를 넘어, 사회 통합의 수준을 가늠하는 시험대가 됩니다. 행정안전부의 통계는 한국 국적 취득자(24만 5,578명)를 외국인주민 통계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들을 지역 사회의 안정적인 구성원으로 보고, 이들의 정착 지원과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반영합니다.
하지만 다문화 사회로의 급격한 전환은 필연적으로 언어 장벽, 문화적 충돌, 사회적 편견 등의 난제를 동반합니다. 특히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외국인주민의 수가 급증하는 만큼, 수도권 중심의 획일적인 지원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착 지원 시스템 구축이 시급합니다. 증가율이 높은 전남, 울산, 충남 등의 지방정부가 지역 산업 특성과 정주 환경에 맞는 통합 프로그램을 선도적으로 개발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외국인주민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모든 지역주민이 함께 상생하며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전략적 투자입니다.
상생 기반 마련을 위한 정부의 책무
행정안전부에서는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와 함께 외국인주민의 안정적 정착과 상생기반을 마련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밝힌 것처럼, 258만 명 시대의 정책 목표는 관리를 넘어 통합이 되어야 합니다. 유학생, 근로자, 결혼이민자, 국적 취득자 등 유형별로 상이한 요구와 배경을 가진 이들을 포용하고, 이들이 한국 사회의 인적 자원으로 건강하게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야말로 다문화 시대, 대한민국이 갖추어야 할 핵심 경쟁력입니다. K-사회는 이제 다양성을 품고 새로운 단계로 비상해야 할 중대한 기로에 서 있습니다.

Social Plugin